본문 바로가기

나비의 한살이

물빛긴꼬리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이렇게 예쁜 아이를 두고 가시는 님들은 누구신가요?^^ 년 1회 출현 먹이식물은 참나무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30일 번데기 더보기
은날개녹색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이렇게 예쁜 것이 어쩌다 천덕꾸러기가 되었는지... 은날개만 아니었으면 좋겠다던 그녀의 말이 생각나 웃게 된다. 충분히 예쁘다. 암컷 수컷 암컷 년 1회 출현 먹이식물 : 떡갈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참나무과) 월동 : 알 부화에서 성충까지 29일 더보기
금빛어리표범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사람과의 만남에는 거리를 두고 자연과 더 가까이... 작은 생명들을 관찰하면서 인간으로 태어난 것이 얼마나 감사한지 절실히 깨닫게 된다. 긴 겨울 잘 견뎌 내고 힘찬 날개 짓을 하는 너에게 박수를 보낸다. 년 1회 출현 먹이식물 : 솔체꽃(산토끼과), 인동덩굴(인동과) 월동 : 애벌레 더보기
산녹색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년 1회 출현 먹이 식물은 참나무과(갈참,신갈,떡갈..) 3월 14일 알에서 부화하여 성충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28일 더보기
참나무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년 1회 출현 먹이 식물은 참나무과(갈참,신갈,떡갈..)   3월 14일 알에서 부화하여 성충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28일 더보기
암고운 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코로나19 땜에 너무 힘든 나날이지만 나의 위로가 되어 줬던 아이들 중에 첫 번째로 날개 짓을 한 아이가 암고운부전나비다. 암고운부전나비는 연1회(6~10) 발생을 하고 발생 초기에 좀 보이다가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더운 여름을 숲 그늘에서 쉬다가 8월 말쯤부터 기온이 떨어지면서 내려 와서 복숭아나무 가지나, 줄기 틈에 알을 낳고, 알로 월동 한다. 암고운부전나비 애벌레 먹이 식물 벚나무 암고운부전나비 애벌레 먹이 식물 복숭아나무 더보기
왕나비 아름다운 우화 번데기가 붙어 있는 잎이 누렇게 바래고 말랐지만 그 마저도 운치 있고 아름답다. 튼튼하게 잘 키워 우화 장면 보라고 챙겨준 그녀 덕분이다. 우화할 때를 기다리다 잠도 못자고 아들과의 약속 시간도 늦춰야 했지만 다 용서가 되는 아름다운 모습이다. 많은 우화 장면을 봐왔지만 역시 .. 더보기
애기세줄나비 한살이 가까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아이들을 얼마나 소홀히 대했는지 사진을 정리하면서 알게 되었다. 그러면 안 되는데 보기 힘든 아이들 사진은 넘쳐나는데 줄나비 사진들이 많이 부족하다. 공부하는 의미에서 애기세줄나비 한살이를 정리하면서 줄나비 총집합 모아 본다. 애기세줄나비 네.. 더보기
긴꼬리부전나비 한살이 긴꼬리부전나비(부전나비과/부전나비아과) 년 1회 7월말에서 9월까지 출현하고 알로 월동을 한다. 먹이식물은 가래나무 강원도의 높은 산지 차가운 계곡 주변이나 산지에서 볼 수 있다. 알에서 성충까지 성공할 확률이 0.1% 밖에 되지 않는다는데 운 좋게도 성충까지 볼 수가 있었다. 조금 .. 더보기
먹그늘붙이나비(먹그늘나비붙이) 한살이 먹그늘붙이나비(먹그늘나비붙이)/네발나비과(뱀눈나비아과) 년 1회 6월 ~ 8월까지 출현하며 4령 애벌레로 겨울을 난다. 먹이식물은 : 참억새, 바랭이, 갈대, 큰기름새, 주름조개풀.... 9월 21일 해산령에서 2령 애벌레부터 관찰 갈대 어린순을 먹고 무럭무럭 자라 10월 27일 번데기가 되어 11월 .. 더보기
별선두리왕나비 한살이 부화 확률이 10% 밖에 되지 않는 귀한 나비인 만큼 건강하게 우화를 해줘서 고맙다. 별선두리왕나비(common tiger)는왕나비아과의 나비이다. 한반도에서는 남부 지방에 정착하여 살게 된 미접으로. 아프리카와 인도, 아시아에 널리 분포 한다. 먹이 식물은 박주가리 이고, 알에서 성충이 되기 .. 더보기
왕나비 한살이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이렇게 기록하기 쉽지 않은 나비 인데 도움에 조건이 붙어 버리면 부담이 되고 소중함도 감사함도 잊게 되는 것 같다. . 왕나비(네발나비과 왕나비아가) 출현시기 - 5월 ~ 6월, 7월 ~ 9월(연 2~3회) 먹이식물 - 박주가리, 큰조롱, 백미꽃 온실에서는 애벌레 먹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