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의 한살이 썸네일형 리스트형 범부전나비 한살이 범부전나비(Rapala caerulea)는 날개 뒷면의 줄무늬가 밤색 바탕과 어우러져 마치 얼룩얼룩한 호랑이의 가죽 무늬를 떠오르게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4월과 8월까지 년 2회 출현을 하는데 봄 형은 어두운 밤색이고 여름 형은 밝은 귤빛을 띤다. 부전나비 중에 꽃을 먹는 나비들이 몇 종 있는데 뾰족부전나비, 물결부전나비, 범부전나비 등이다. 먹이 식물은 조록싸리, 아카시나무(콩과), 고삼, 갈매나무.. 지난 8월 28일 산란한 아이는 조록싸리꽃을 먹고 자라 지금은 번데기 상태로 월동 중이다. 더보기 뾰족부전나비(암컷) 알에서 성충이 되는 과정 미접종에서 정착종이 되었고, 끝이 뾰족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성충 발생 - 5월~10월(년2~3회) 먹이 식물 - 칡, 등나무, 회화나무(콩과) 월동 - 성충 뾰족부전나비 출현 소식에 2014년 거제도까지 달려갔었다. 바람의 언덕 정자가 있는 주변이라는 정보만 듣고 무작정 달려가 기어이 만나기는 하였는데 높은 나무에 앉아 짧은 렌즈로 담아오기엔 무리였다. 그래도 그런 열정들이 추억이 되어 회상하며 절로 미소 짓게 된다. 더보기 물결부전나비 한살이 2013년 9월 16일 암붉은오색나비를 만났다는 지인의 정보로 만리포 주변을 탐사하다 암붉은오색나비 대신 처음 물결부전나비를 만났는데 잔잔한 물결무늬가 그 이름을 말해주고 있었다. 얼마나 신기하고 반갑던지.. 2017년 8월 8일 여수 탐사길 어느 집 앞 동부콩(?)밭에서 산란하는 물결부전나비를 만나게 되었다. 산란하는 장면을 보고도 그 생태를 관찰할 생각을 하지 못한 게 아쉬움으로 남았는데 2020년 8월 20일 다시 여수 탐사 길에 물결부전나비 짝짓기 장면과 편두(콩과)에 산란하는 장면을 보게 되어 제대로 관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출현 시기 - 7월 ~ 11월 먹이식물 - 편두, 동부, 새팥, 고삼...(콩과) 월동 - 성충 분포 - 제주도와 남 · 서해안 지역에 분포. 미접종으로 취급되던 나비였는.. 더보기 북방기생나비 한살이 너무 작고 너무 날씬 하고 너무 깨끗하다 너 년 3회 출현(4월 ~ 9월) 먹이식물 : 갈퀴나물(콩과) 월동 : 번데기 더보기 북방쇳빛부전나비 한살이 연 1회 출현 먹이 식물 : 산조팝나무 외 여러 조팝나무(장미과) 월동 : 번데기 출현 시기 : 지역에 따라 4~6월 더보기 갈구리나비 한살이 연 1회 출현 먹이 식물 : 장대나물류 냉이류 등(십자화과) 월동 번데기 출현 시기 지역에 따라 4~5월에 활동한다. 더보기 밤오색나비 년 1회 출현하고 먹이 식물은 느릅나무과 3령 애벌레에서 월동을 한다. 더보기 각시멧노랑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각시처럼 고운 각시멧노랑 때문에 아침에 부지런을 떨어야 했고, 덕분에 즐거웠다. 긴 시간 날개 상하지 말고 예쁜 날개 짓 하다가 내년 봄에 다시 만나자. 년 1회 출현하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먹이 식물은 갈매나무와 털갈매나무 더보기 우리녹색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한아름 되는 참나무 벌목에서 어렵게 찾아 낸 우리녹색부전나비 알 무사히 한살이를 마칠 수 있어 감사하다. 년 1회 출현 먹이 식물 / 참나무과 습성 / 집을 짓고 생활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 / 30일(온도 25도 기준) 더보기 작은녹색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년 1회 출현 먹이 식물 / 오리나무 습성 / 집을 짓고 생활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표준온도 25도 기준 29일 더보기 깊은산녹색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년 1회 출현 먹이식물 : 갈참나무, 신갈나무(참나무과) 월동/알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30일 더보기 담색긴꼬리부전나비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년 1회 출현 먹이식물 참나무과 월동/알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29일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